
공무원을 준비하거나 이제 막 임용된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월급날이 언제이고 실수령액 수당 금액이 얼마인지일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공무원 월급날은 언제인지?", "9급·7급 공무원의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공무원 월급날은 언제일까?
대한민국 공무원의 월급날은 매월 21일입니다.
다만, 21일이 주말 또는 공휴일일 경우, 그 전날에 지급됩니다.
✅ 예를 들어
- 2025년 6월 21일(토요일) → 6월 20일(금요일) 지급
- 2025년 9월 21일(일요일) → 9월 20일(토요일) 지급
💡 참고: 일부 지방자치단체나 기관에 따라 월급 지급일이 다를 수도 있으니 소속된 기관의 공지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9급·7급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총정리
공무원 급여는 기본급 + 각종 수당으로 구성됩니다. 실제로 받는 돈은 세금과 공제항목을 제외한 실수령액인데요, 2024년 기준 9급·7급 공무원의 월급과 실수령액을 살펴보겠습니다.
9급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2024년 기준,)
9급 1호봉 기준
- 기본급: 약 1,773,500원
- 실수령액: 약 170~180만 원
- 공제항목: 건강보험, 국민연금,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
9급 5호봉 기준
- 기본급: 약 2,000,000원
- 실수령액: 약 190~200만 원
7급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2024년 기준)
7급 1호봉 기준
- 기본급: 약 2,086,800원
- 실수령액: 약 190~210만 원
7급 5호봉 기준
- 기본급: 약 2,300,000원
- 실수령액: 약 220~230만 원
📌 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 증가
공무원은 기본급 외에도 각종 수당이 지급됩니다.
- 정근수당, 가족수당, 초과근무수당, 위험근무수당 등
- 직급과 근속연수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짐
👉 결론: 9급 공무원 초봉 실수령액은 약 170만 원 수준이지만, 수당 포함 시 더 높은 금액을 받을 수 있음.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을 높이는 방법?
근속연수를 늘리기
공무원은 호봉제가 적용되므로 근무 연수가 길어질수록 월급이 자동 상승합니다.
- 예) 9급 1호봉 → 10호봉 (월급 차이 약 +50만 원)
수당을 적극 활용하기
- 초과근무를 하면 초과근무수당 지급
- 배우자 및 자녀가 있으면 가족수당 추가
- 위험수당, 특수업무수당 등 소속 기관에 맞는 수당 확인
성과급 및 상여금 확인
기관에 따라 연말 성과급이 지급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성과급 등 추가 급여 혜택이 주어집니다.
공무원 월급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공무원 월급은 해마다 오르나요?
네! 정부는 매년 공무원 봉급표를 조정하며, 보통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인상됩니다.
9급 공무원과 7급 공무원의 가장 큰 월급 차이는?
7급 공무원은 9급에 비해 기본급이 약 30~50만 원 정도 더 많고, 승진 속도와 수당에서도 차이가 납니다.
공무원 월급이 늦게 들어올 수도 있나요?
거의 없습니다. 다만, 특정한 기관 사정에 따라 일부 지연될 수도 있습니다.
공무원도 보너스나 성과급을 받나요?
네, 정근수당과 성과급 형태로 지급되며, 기관 및 직급에 따라 다름.
마무리
📌 공무원 월급날: 매월 21일 (주말·공휴일이면 하루 앞당김)
📌 9급 실수령액: 약 170~180만 원 (수당 포함 시 증가)
📌 7급 실수령액: 약 190~210만 원 (수당 포함 시 증가)
📌 호봉 상승 및 수당 활용 시 월급 증가 가능
공무원을 준비하는 분들이나 막 임용된 분들은 월급 구조와 실수령액을 미리 파악하여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